[전력톡톡] 기후위기 대응, 환경문제 넘어 국가경제 좌우한다
[전력톡톡] 기후위기 대응, 환경문제 넘어 국가경제 좌우한다
  • EPJ
  • 승인 2022.02.08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렉트릭파워 고인석 회장] 대선후보 토론 과정에서 기후위기 대응과 직결되는 ▲RE100 ▲EU 택소노미 등의 용어가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일반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에너지업계에선 탄소중립·에너지전환에 대비한 미래 중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이미 관련 대응책을 속속 마련하고 있지만 당장의 민생 현안과 거리가 있는 전문분야다 보니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밖에 없는 용어들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제라도 국민들이 해당 용어에 대한 궁금증을 계기로 글로벌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각자의 시각에서 진지하게 생각하게 됐다는 점이다.

RE100은 사용전력의 100%를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통해 충당하겠다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RE100 참여 기업은 2050년까지 100% 달성을 목표로 하되 연도별 달성 수치의 경우 기업이 자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권고하고 있는 실적은 2030년 60%에 이어 2040년 90% 이상이다.

최근까지 RE100에 가입한 글로벌 기업은 구글·애플·GE 등 300여 기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기업 가운데는 SK그룹 일부 계열사와 LG에너지솔루션 등 10여 곳이 가입한 상태다.

유럽의 비영리단체가 만든 이 같은 캠페인 성격의 활동에 국내 기업들이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이유는 RE100에 참여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이 협력사나 부품·서비스 제공업체에 재생에너지 이용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재생에너지 전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계약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만들어 지고 있는 것이다.

EU가 지난해 7월 발표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CBAM는 유럽 내 생산품보다 탄소배출이 많은 수입제품에 대해 상응하는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일종의 탄소국경세다.

EU는 우선 2023년부터 탄소배출이 많은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력 등 5개 부문 수입품에 대해 단계적으로 적용한 후 2026년부터 본격적인 탄소비용 부과에 들어갈 계획이다. EU의 이 같은 조치로 가장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산업은 철강업계다. 산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국경조정제도가 시행될 경우 우리나라 철강 수출 규모는 최대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린 택소노미는 특정 기술이나 산업활동이 친환경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국제기준으로 일종의 녹색분류체계를 의미한다. 원자력과 LNG를 해당 분류체계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놓고 고민하던 EU가 최근 조건부지만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시키면서 국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EU 택소노미에 원자력이 최종 포함될지 여부는 지켜봐야 하겠지만 탄소중립 숙제를 안고 있는 국제사회의 공통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란 공감대가 마련되고 있어 주목된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12월 K-택소노미를 발표하면서 LNG는 한시적으로 포함시켰지만 원자력은 제외한 바 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요구가 점차 구체화되면서 기존 경제시스템 또한 새로운 변화를 맞게 됐다. 저탄소 중심의 새로운 글로벌 무역시대에 국내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을 만들기 위해선 우리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