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에너지절약 교육프로그램 이수 후 에너지 사용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전기협회와 한국여성소비자연합이 에너지교육 이수자 1,000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관련 교육 필요성 인식이 교육 전과 후 각각 89.6%와 93.4%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대한전기협회는 전기소비자 행동변화와 에너지절약 유도사업 일환으로 전국 10개 광역시·도 주부를 대상으로 에너지교육을 실시했다.
에너지절약 행동 관련 설문에선 교육 전후 인식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전 전기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가입 의사를 밝힌 응답은 12.8%에 불과했지만 교육 이후 59.3%가 가입 의사를 밝혀 46.5%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입하고 싶은 에너지절약 프로그램으로는 한전 주택용에너지캐시백(32.0%)을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탄소포인트제(15.7%), 에코마일리지(13.8%) 순으로 관심이 높았다.
교육 전과 후 행동 변화가 가장 크게 달라진 부분은 미사용 가전제품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전 68%에서 교육 후 95.8%로 27.8%p나 증가했다.
가전제품 구매 시 에너지효율등급이 높은 제품을 가장 우선시 고려한다는 응답도 교육 전 73.3%에서 교육 후 96.0%로 22.7%p 상승했다.
특히 에너지절약 교육을 통해 전기요금 관련 인식도 크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요금을 더 부과하게 된다면 감당하겠다는 응답이 교육 전 29.6%에서 교육 후 36.4%로 6.8%p 높아졌다.
교육 전 10명 중 7명이 모른다고 응답했던 연료비연동제의 경우 교육 후에는 연료비연동제 합리성에 대한 긍정 응답이 교육 전 46.4%에서 교육 후 60.6%로 14.2%p 증가했다.
지난해 한전 적자가 전기요금제 때문이란 인식에 대해선 교육 전 29%에서 교육 후 39.4%로 10.4%p 상승했다.
대한전기협회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전기 에너지절약 교육이 전기소비자 인식을 에너지절약 방향으로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며 “교육·홍보·캠페인 등을 통해 전기 에너지절약 관련 정보를 꾸준히 제공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6월 5일부터 7월 7일까지 대면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