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비 떨어진 상한가격 전망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올해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물량 1,900MW 이내에 대한 참여자 접수가 마감된 가운데 비공개 처리된 입찰 상한가격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풍력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월 10일 접수 마감된 올해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는 공고 물량을 초과하는 프로젝트가 접수됐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발전사업허가 취득 후 환경영향평가나 해역이용영향평가, 개발행위허가 등을 마친 2.6GW 규모 육·해상풍력 개발사업이 입찰 참여서를 제출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6개 사업에 걸쳐 2GW 규모가 해상풍력이다.
정부가 사전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공고용량을 확정한 만큼 일정 수준 이상의 경쟁률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공고용량과 실제 선정용량이 다를 경우 형식적인 경쟁률에 그칠 수 있다.
지난해 첫 입찰에선 550MW 이내 물량을 공고한 가운데 참여한 712MW 중 374.4MW를 선정했다. 표면적으론 1.9:1의 경쟁률을 보였지만 최종 선정용량이 당초 공고물량의 70%에도 못 미쳐 업계는 사실상 미달로 평가하고 있다.
올해 입찰에선 해상풍력과 육상풍력이 각각 1,500MW와 400MW 이내 물량으로 별도 공고됐다. 부적격 설비 없이 공고용량 그대로가 선정용량으로 이어질 경우 해상과 육상 경쟁률은 각각 1.3:1과 1.5:1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한가격 넘긴 입찰가 제출 사업자 있을 수도
정부는 실질적인 경쟁 유도로 입찰가격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 입찰에선 상한가격(SMP+1REC 가격)을 공개하지 않았다. 입찰가격을 상한가격 대비 85% 수준으로 정해 배점 격차가 22.5점까지 벌어지도록 설계했다.
계량평가인 입찰가격 배점이 60점으로 가장 높은 상황이라 입찰 참여자들은 입찰가격을 낮춰 선정 가능성을 높이는 보수적인 전략과 거꾸로 낙찰 가능성은 낮지만 입찰가격을 높게 책정하는 공격적인 전략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풍력업계는 올해 입찰 상한가격이 지난해 수준에도 못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 원자재 가격과 건설비용 상승에 금리 인상까지 더해져 풍력 개발 환경이 급격히 나빠졌음에도 불구하고 풍력 발전단가 하락을 유도하려는 정부 의지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발전단가를 낮춰 비용 효율적인 재생에너지를 보급하겠다는 정부 정책 방향성에 더해 눈덩이처럼 불어난 한전 적자를 감안할 때 올해 상한가격은 지난해 수준보다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결국 지난해 풍력 상한가격인 kWh당 169.5원(육지기준)에서 얼마나 떨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입찰가격을 상한가격보다 단 0.1원이라도 높게 써낼 경우 아예 심사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앞서 입찰 마감 날 열린 RPS운영위원회에서 결정한 상한가격에 따라 참여 사업자간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특히 해상풍력의 경우 육상풍력에 비해 공급망 변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사업성 판단에 영향을 줄 가중치 변동성도 커 적정 입찰가격을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따랐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공급망 활성화 역행 우려
풍력업계에 따르면 올해 경쟁입찰에 참여한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금일해상풍력(600MW) ▲안마해상풍력(532MW) ▲신안우이해상풍력(396MW) ▲낙월해상풍력(364MW) ▲한동·평대해상풍력(105MW) ▲고창해상풍력(70MW) 등 총 6건으로 알려졌다. 금일해상풍력의 경우 1단계와 2단계 각각 입찰 참여서를 접수한 상황이라 개별 프로젝트 건수로는 총 7건이 된다.
당초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됐던 태안해상풍력(504MW)은 입찰가격·개발환경 등 현재 시장 여건을 감안해 이번 입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입찰에 참여한 프로젝트들은 REC 가중치 관련 연계거리를 비롯해 중국산 기자재 사용, 제주지역 개발사업 등 다양한 이슈를 안고 있다. 한동·평대 프로젝트의 경우 두산에너빌리티가 풍력터빈 공급은 물론 EPC를 직접 수행할 예정이라 주목을 받고 있다.
풍력업계 한 관계자는 “16점이 걸려있는 산업·경제효과 항목에 대한 평가기준이 여전히 모호하다보니 사업자의 적극성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어 보인다”며 “산업기여도 배점을 포기하고 입찰가격만 낮춘 사업자가 낙찰될 경우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줘 국내 공급망 활성화는 더욱 멀어질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지난해 풍력 경쟁입찰 결과 선정된 8개 프로젝트 가운데 실제 착공에 들어간 사업은 손에 꼽힌다”며 “이행력을 갖춘 사업자가 입찰시장에 들어와 속도감 있게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여전히 허수로 잡히고 있다는 점에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